About

Company

DogWoodAI는 AI 자율제조공장의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2022년 11월 9일에 설립되었습니다

제조공장에서 제품 수율과 품질은 기업의 수익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DogWoodAI의 핵심 솔루션은 고객사의 요구사항과 공정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AI 솔루션입니다. 이 AI 솔루션은 고객사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메인 지식을 접목하여 정밀도가 높은 성능을 보이며. 공정 모사기, 공정 최적화, 운전 데이터 분석, 데이터 기반 안전/유지보수 분석 및 공장정보 생성형 AI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본 AI 솔루션은 특히 복잡한 제조 산업 환경에서 최적의 성능을 제공합니다. 고객사의 공정 시스템에 대한 심층적인 도메인 지식을 바탕으로 개발되며, 기존 설비와 통합되어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 또한 고객사의 비즈니스 니즈와 운영 조건을 반영하여 정확한 예측 모델링, 운전 최적화, 안전대응 기능을 수행합니다.

DogWoodAI는 제조공장에서 제품 수율을 실시간으로 예측할 수 있는 AI 솔루션을 성공적으로 개발하였으며, 이를 통해 생산성 향상과 운전 안정성 제고로 고객사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더 나아가, DogWoodAI의 AI 솔루션은 산업 제조 분야에서 스마트 팩토리 실현의 핵심 기반으로 활약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녔습니다.


CEO


이창하 교수는 피츠버그 대학(Univ. of Pittsburgh)에서 박사 학위와 머크사(Merck & Co.)에서 근무 이후 연세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의 정교수로 재직 중이며, 2018년부터 2020년까지 기획처장을 역임했고, 2012년부터 차세대 융복합 에너지물질 특화센터(CEMRC)의 센터장을 맡고 있습니다. 또한 2022년에는 한국화학공학회의 학회장을 역임하였습니다.

그동안의 연구활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i) 공정 강화 및 시뮬레이션 (ii) 정상상태 공정/공장의 멀티 스케일 모델링 및 단일 공정/공장을 위한 동적 시뮬레이션 (iii) 화학 공정을 위한 AI(model-based AI, physics-based AI, data-based AI)

지금까지 50명의 박사과정 학생과 110명의 석사과정 학생을 성공적으로 지도했으며, 국제학술지에 350개 이상의 논문을 저술 또는 공동저술 하였습니다. 흡착제, 반응기, 그리고 공정 분야의 다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3개의 기술은 기업들에 이전되었습니다. 이창하 교수의 업적으로 ‘모델기반혁신상(Model-Based Innovation Prize: PSE, UK)’, 장관 및 국무총리 표창 등을 수여 했습니다. 현재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한국공학한림원의 정회원이고, 국제 흡착학회(AIS)의 펠로우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2022년 11월 스마트 팩토리를 위한 AI 솔루션을 제공하는 당사를 설립하였습니다. 개발이 완료된 AI는 현재 정유/정밀화학/반도체소재 공장에 적용되었으며, 플랫폼 소프트웨어와 통합하여 정밀화학 공장에 설치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AI도 개발되었습니다.


CTO


오민 교수는 한밭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에서 공정 모사와 AI 솔루션 개발에 풍부한 경험을 갖춘 전문가입니다.

1993년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Imperial College)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1995년부터 1996년까지 영국 IC Consultant에서 기술 컨설턴트로 근무하였으며, 1996년부터 1998년까지는 LG엔지니어링에서 수석 엔지니어로 재직하였습니다.

학문 분야를 넘어, 오민 교수는 국가 정책 및 전략 수립에도 적극적으로 기여해왔습니다. 2003년부터 2005년까지 국가과학기술위원회 및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였으며, 2005년부터 2007년까지 대통령자문과학기술위원회 위원으로서 활동 하였습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i) 유체역학: 결정화기, 수성가스 전환 반응기(ii) 공정 시뮬레이션 및 최적화: 복합화력발전소, 가스화기 (iii) AI 응용: 배출가스 예측, 하이드로크래킹 공정 AI (iv) 국방 과학기술: 고체추진제, 폐폭약 소각로

Industries

많은 화학관련 제조 산업에서는 몇 군데의 글로벌 라이센서가 보유한 원천 설계 기술을 활용하여 동일한 제품을 전 세계적으로 생산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다수의 기업들이 해당 원천 기술을 도입하여 유사한 공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각 기업들은 원료 특성, 시장의 요구사항 및 내부 경영 전략에 따라 공정 운영 방식을 개별적으로 최적화하고 있습니다.

수율 일관성, 공정 안정성 및 운영 효율성을 포함한 운영 전략은 정유 및 석유화학을 포함한 다수의 화학관련 회사의 수익률에 막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게다가 인건비 상승, 현장 엔지니어 공급과 배치의 어려움, 그리고 치열해지는 글로벌 경쟁구도로 인해 기업들은 공정 운영 역량 강화가 절실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공정의 실시간 운영 조건과 현장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예측할 수 있는 역량이 필수적입니다. 그러나 원료 가격의 높은 변동성과 시장 수급의 예측 어려움 등으로 인해 운영 예측의 정확성이 떨어지고, 이는 기업 수익에 상당한 손실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당사는 AI 솔루션을 통해 공정 예측 솔루션을 개발하여 원료의 변동성과 공정 운전 불안정성으로 인한 예측 오차를 최소화하고자 합니다.
특히 한국의 정유 및 석유화학사들은 해외 기업 대비 더 다양한 원료 제공처를 사용하여 공정 운영의 불확실성과 변동성이 높은 제조 환경의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또한 석유화학 산업 내에서는 원자재 공급 업체가 다양하고, 원자재 가격의 변동성이 심하여 전통적인 수학적 모델링만으로 정확한 예측이 어렵습니다. 이에 따라 AI 기반의 예측 소프트웨어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당사는 이러한 니즈를 반영하여 맞춤형 AI 솔루션을 개발 및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AI 기반 원료 최적화 시도는 주로 원유 시장의 상황과 에너지 효율성 측면에만 초점을 맞추었으며, 실제 공정 운전 조건과 운전 상태가 최종 제품 품질과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습니다. 공정이 극도로 복잡한 경우가 많기에 물리적 공식만으로 다양한 제품을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AI 솔루션이 필수적입니다. 당사는 맞춤형 AI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각 회사의 요구에 부응하고자 합니다.

Customers

당사는 고객사들과 협력하여 산업현장에서 AI 솔루션의 단기, 중기, 장기 적용을 검증합니다. 당사는 정유사, 정밀화학사, 소재사와 협력하여 맞춤형 AI 솔루션의 장기 검증 및 적용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의 정유 및 화학 회사들은 유사한 공정을 채택하고 있지만, 국가별 특성 및 시장 여건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공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업계의 특성상 여러 개의 상호 연계된 공정을 운영하여 단일 공장에서도 다양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특정 공정에 최적화된 맞춤형 AI 및 AI 솔루션을 개발하고 제공함으로써, 전 세계의 유사한 공정들에 대해 유연하고 정확한 맞춤형 튜닝이 가능한 AI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글로벌 정유 및 화학 산업의 규모와 수요를 고려할 때 매우 큰 시장 확장성을 제공합니다.